전공 및 교육과정
학교상담
석사과정
학교상담전공
- 학교상담전공은 아동·청소년이 다양한 발달과업과 어려움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와
학교상담자의 능력을 키우려는 것을 목적으로 함 - 학교상담전공은 자격과정과 비자격과정으로 구분되며, 자격과정은 졸업 후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 취득이 가능함
- 교육과정은 교사와 학교상담자가 전문적인 상담과 생활지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상담 실제에 대한 내용이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음
중점 교육 영역
- 학교상담 및 생활지도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실무능력의 향상을 위해, 상담의 기초이론, 주요 영역별 상담, 상담 실습 및 수퍼비전 등이 균형있게 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음
- 대부분의 강의는 실제 상담 능력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례 수업과 수퍼비전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
- 자격과정은 졸업 후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 취득 가능
전공 교수진 현황
김혜숙
- 세부전공상담심리
- 관심영역상담심리, 가족관계와 자녀, 심리적 적응
- 연구실031)470-6315
- 이메일hyesook@ginue.ac.kr
저서
- (학교현장을 중심으로 한) 가족상담 이해와 활용(2020)
- (초보자를 위한)학교상담가이드(2018)(공저)
여태철
- 세부전공교육심리
- 관심영역아동발달 및 심리검사
- 연구실031-470-6302
- 이메일tcyeo@ginue.ac.kr
저서
- (초보자를 위한)학교상담가이드(2018)(공저)
-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실제(2018)(공저)
공윤정
- 세부전공상담심리
- 관심영역상담심리, 아동·청소년 정서, 행동문제 상담, 진로상담, 상담윤리
- 연구실031-470-6303
- 이메일gongy@ginue.ac.kr
저서
- 생애개발상담(2020)(공저)
- (초보자를 위한)학교상담가이드(2018)(공저)
황매향
- 세부전공교육상담
- 관심영역학업상담, 진로상담, 행동수정, 다문화상담, 심리교육
- 연구실032-540-1498
- 이메일maehyang@ginue.ac.kr
저서
- 진로탐색과 생애설계: 꿈을 찾아가는 포트폴리오(3판)(2020)(공저)
- 정서와 학습 그리고 뇌(2019)(역서)
정애경
- 세부전공상담심리
- 관심영역상담심리(진로상담, LGBTQ)
- 연구실032-540-1473
- 이메일akjung@ginue.ac.kr
저서
- 여성주의 상담: 이론과 적용(2020)(공역)
- (초보자를 위한)학교상담가이드(2018)(공저)
전공의 주요 활동 및 성과
- 학교상담 전공에서는 경인교대 상담센터 마음과 협력하여 인천과 경기지역의 교사, 지역사회 주민, 아동청소년 대상 상담관련 연수, 개인상담,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워크숍 등을 제공하고 있음
경인교대 상담센터 마음 홈페이지 사이트를 바로 가실 수 있습니다.
경인교대 상담센터 마음 방문하기전공사무실
전공 | 직책 | 구분 | 구내전화번호 인천)032-5401- 경기)031-4706- |
---|---|---|---|
전공사무실 | 조교 | 야간제 | 인천)370 |
조교 | 계절제 | 경기)37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