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공 및 교육과정
국어교육
석사과정
국어교육

- 국어교육전공은 국어교육 현장 전문가, 전문 연구자 양성을 목적으로 함
- 국어교육에 대한 심화 이해와 연구 활동으로 현장 국어수업의 변화를 이끌고 학습자들의 국어사용 능력 증진을 위한 실천과 연구 활동을 진행함
- 사고, 의사소통, 학습의 도구가 되는 국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한 연구 활동과 교육적 실천으로 행복한 국어생활을 지원함
전공 특전
- 경인교육대학교 언어문화연구소 관련 교육 사업 및 세미나 참여 기회 제공
- 경인교육대학교 언어문화연구소 관련 사업 강사 및 위촉연구원 참여 기회 제공
- 전공 교수진과 협력하는 각종 교육 프로젝트 참여 기회 제공
- 전공 교수진과 협력하는 각종 교과서, 교육활동 참여 기회 제공
- 한국 초등국어교육학회, 국어교육학회, 한국어교육학회 등 국어교육 관련 학회 활동 지원
전공 교수진 현황
이창덕
- 세부전공국어학
- 관심영역국어화용론, 화법교육, 수업대화, 국어 문법 교육, 언어예절, 한국 어 문법교육, 언어철학
- 연구실032-540-1216
- 이메일leechang@ginue.ac.kr
저서
- 화법이론서: 삶과 화법
- 화법교육서: 화법교육론, 말하기, 듣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
- 수업대화: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
최영환
- 세부전공읽기교육
- 관심영역- 읽기 이론 개발: 읽기 과정 분석을 통한 읽기 이론 개발
- 읽기 목표 체계화: 읽기 목표 탐색을 통한 목표 체계화 및 교육과정 설계
- 읽기 전략 및 교재 구성: 읽기 목표에 따른 전략 개발 및 교재 구성
- 연구실031-470-6215
- 이메일choi@ginue.ac.kr
저서
- 국어교육학의 지향
- 국어교육학 개론
- 수업모형의 이론과 실제 - 일반: 기적의 한글학습, 기적의 일기쓰기, 아하 한글 만들기, 아하 한글 배우기, 아하 한글 받아쓰기
논문
- 「훈민정음」(1446)에서 한글 자모 설명을 위한 한자 선정 방식
- 「훈몽자회」의 한글 지도 방법 연구 국어과 교육에서 재맥락화를 위한 스토리텔링
- 한국어문화와 한국 문화의 관계 설정
김창원
- 세부전공문학교육
- 관심영역국어과 교육과정/평가, 문학교육 일반, 현대시교육
- 연구실031-470-6211
- cwkim@ginue.ac.kr
저서
- 국어교육론(삼지원)
- 문학교육론(한국문화사)
- 시교육의 사적 연구(역락)
- 시교육과 텍스트해석(서울대출판부)
정혜승
- 세부전공국어과 교육과정
- 관심영역교육과정과 평가, 국어 교과서, 문식성 발달과 교육
- 연구실031-470-6214
- 이메일metajhs@ginue.ac.kr
저서
- 국어교육의 이해(공저)
- 핵심 질문(공역)
- 학생이 질문하는 즐거운 수업 만들기- 놀이편(공저)
논문
- 초등학생 학부모의 문식성에 대한 인식과 문식 활동 및 자녀 지원 방식
-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심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
-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 분석 연구
정현선
- 세부전공미디어 교육
- 관심영역미디어 리터러시, 멀티리터러시, 디지털 리터러시, 비판적 리터러시,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, 교사 교육, 디지털페어런팅 , 디자인 기반 연구
- 블로그https://hs-jeong.net
- 연구실032-540-1213
- 이메일hyeonseon@ginue.ac.kr
저서
- 온라인 수업의 모든 것(공저)
- 4차 산업혁명 시대, 교육(공저)
- 시작하겠습니다, 디지털 육아
- 미디어 교육 선언 (공역)
- 디지털 네이티브 그들은 어떻게 배우는가(공역)
논문
-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
- 비판적 사고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컴퓨팅 사고의 융합
-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: 호주 Pearson 출판사의 7-10학년 영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사례를 중심으로
- 초등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외 다수.
김정자
- 세부전공작문교육
- 관심영역쓰기 교육,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
- 연구실031-470-6213
- 이메일kjj67@ginue.ac.kr
저서
- 국어과 교수·학습 방법(공저)
논문
-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쓰기 학습 활동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
- 초등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 : '좋은 독자 교사'의 특성을 중심으로
- 학생들은 자신의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
심상민
- 세부전공한국어교육
- 관심영역KSL 교육과정, 다문화 문식성, 읽기 교육
- 연구실032-540-1217
- 이메일simsm@ginue.ac.kr
논문
-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(KSL)에 대한 비판적 고찰 – 호주 EAL/D 교육과정의 듣기와 말하기 성취 기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
-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F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(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)
- 이주민 대상 호주 영어교육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
- 한국어교육에서의 읽기 유창성의 구성 요인과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
- 한국어 문화교육 자료로서의 텍스트 선정에 관한 일고
이준호
- 세부전공한국어교육
- 관심영역-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방안
-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
-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방안
- 연구실032-540-1218
- 이메일juno0505@ginue.ac.kr
저서
- 재미있는 한국어 4, 5
- 세종한국어 1, 2, 3, 4
- 세종한국어회화 1, 2, 3, 4
논문
- 한국어 화용 능력 평가를 위한 하위 평가 범주의 설정 연구
- 초등 학습자 대상 한국어(KSL) 진단평가 연구– DLA, WIDA, ELPAC 평가 분석을 바탕으로
보고서
-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교재 인증제 운영 방안 연구
이선영
- 세부전공화법교육
- 관심영역교실 토론 교육, 논증적 표현과 이해, 교실 의사소통, 사고력과 언어 발달
- 연구실032-540-1214
- 이메일leesy@ginue.ac.kr
번역서·저서
- 수업의 완성- 교실 토론, 논증과 토론,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
논문
- 온라인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수 실재감 양상 분석
-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대화의 가치와 기능
- 학습자의 국어능력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설계 시론
- 교실 토론을 위한 토론 형식의 이해와 수업 적용 방안 연구
- 토론 평가 패러다임 분석에 따른 토론 평가의 방향 고찰
보고서
-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훈화 자료집
- 분야별 화법 분석 및 향상 방안 연구
강남욱
- 세부전공한국어교육
- 관심영역한국어교육론
- 연구실031-470-6212
- 이메일kangnw@ginue.ac.kr
저서
- 한국어교사를 위한 한국어학개론(공저) 외
논문
- “지석영본 <아학편(兒學編)>(1908)으로 살펴본 트랜스링구얼리즘(translingualism)과 교육적 의미” 외
이지영
- 세부전공문학교육
- 관심영역스토리텔링, 아동문학연구 및 교육, 서사교육, 그림책 연구 및 제작
- 연구실032-540-1215
- 이메일jylee@ginue.ac.kr
저서
- 스토리텔링과 수업기술
- 문학교육개론 Ⅰ
논문
- 독자가 인식한 문학 감동의 의미
- 대학 미술관 전시와 교육에 작용하는 스토리텔링 탐색
-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
- 아동·청소년기의 독서 정체 이유에 관한 연구
박치범
- 세부전공국어교육, 문학교육
- 관심영역문학교육, 현대소설교육, 아동청소년소설, 이야기그림책
- 연구실031-470-6217
- 이메일clqja@ginue.ac.kr
논문
-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에 관한 교수자의 인식 연구
-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이야기 그림책 수록에 관한 연구
- 박목월 메타시 연구
- 문학 수업과 정서적 지원에 관한 학습자의 인식 연구
- 박태원 단편 「방란장 주인」연구? 문학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연구
전공교수진의 주요 활동 및 성과
1)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
- 국어과 기존 교육과정 연구를 기반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, 실행 연구 등을 수행함, 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참고하고 국어교육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과정을 심화하여 이해 분석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함
- ‘역량 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’
- ‘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’
- ‘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-각론 연계성 제고 방안’
- ‘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’
- ‘초중등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단원 개발 연구’
2) 국어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수
- 말하기·듣기, 읽기, 쓰기, 문법, 문학 등 국어과 전공 영역에 특화된 교과 내용 연수,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선도교원 연수 및 직무 연수와 학습 부진아, 영재, 다문화 가정 배경, 탈북 등의 다양한 학습자 배경에 따른 국어교육 방법과 전략에 대한 연수를 진행함.
- 기초학력 학생 지도 연수
- 토론교육 전문가 양성 연수
- 2015 개정 초등학교 5-6학년 국어과 선도교원 연수
3) 국어교육 관련 교재 및 교과서 개발 및 집필
- 초·중등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국어교육 교재를 집필하고 학습자의 특성, 학습 목적에 따른 교재연구를 진행함. 보충 및 심화가 필요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재를 구성하고 원활한 교육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지원함.
- ‘국립국어원과 함께하는 국어교실’
- ‘돋움 국어초등 교과서 개발’
- ‘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학교가 좋아요’
- ‘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5-6 국어 교수학습 자료(미디어 리터러시, 한 학기 한 권 읽기, 체험 중심 연극 자료)’
- ‘미디어 세상보기 초등 저학년 고학년 지침서 개발’
- ‘언어문화개선을 위한 초·중등 훈화 자료집 개발’
- ‘초등 2-6학년 서술형, 논술형 문항 개발 연구’
- ‘고등학교 국어과 교수. 학습 자료 개발’
4) 국어교육 관련 학회 및 위원 활동
- 국어교육 관련한 정부·민간 단체의 사업에 참여하여 전문적 의견을 개진하고 국어교육 학술활동에 적극 참여함
-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자문 및 심의 활동
- 국립국어원 각종 사업 자문 및 심의 활동
- 여성가족부 청소년보호 위원회 활동
-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, 한국어교육학회, 국어교육학회, 독서교육학회, 작문교육학회, 화법교육학회, 문학교육학회 임원 및 이사진 활동
- 지역 교육지원청 교육과정 운영위원 활동
- 지역 국어 관련 사업 자문 및 심의 활동
전공사무실
전공 | 직책 | 구분 | 구내전화번호 인천)032-5401- 경기)031-4706- |
---|---|---|---|
전공사무실 | 조교 | 야간제 | 인천)210 |
조교 | 계절제 | 경기)210 |